혹시 부모님께서 최근 들어 같은 질문을 반복하거나, 기억력이 눈에 띄게 저하되셨나요?
치매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. 특히 치매 검사는 보건소와 전문 의료기관 등에서 손쉽게 받을 수 있고, 비용 지원 제도도 마련돼 있어 누구나 접근 가능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치매 검사를 어디서, 어떻게, 얼마에 받을 수 있는지, 그리고 검사 지원 제도까지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.
🏥 치매 검사는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?
기관 | 특징 |
---|---|
보건소 | 간단한 선별 검사(KDSQ-C) 무료 제공 |
치매안심센터 | 1차~3차 검사, 상담 및 사후관리까지 제공 |
일반 병원 | 신경과, 정신과에서 정밀검사 가능 |
전문병원 | MRI, PET 등 고도 진단장비 보유, 진단의 정확도 ↑ |
📞 빠른 안내 원하시면: 치매상담콜센터 1899-9988로 전화하거나, 인근 보건소에 문의하세요.
🔍 치매 검사 진행 절차는?
① 1차 간이 인지검사 (보건소/안심센터)
-
시간 감각, 언어 능력, 기억력 등을 간단한 문진으로 확인
-
약 10분 내외, 무료 제공
② 2차 정밀 진단 (병원)
-
MMSE, CDR 등 심층 인지검사
-
필요시 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신경과 전문의 진료
③ 3차 영상 및 혈액 검사
-
뇌 MRI, CT, PET-CT 등 구조적 이상 확인
-
일부는 유전자 검사나 우울 척도 검사도 병행
📝 초기 검진은 그림 검사처럼 간단한 테스트로도 가능하며, 시계 그리기 또는 사물 기억력이 주요 평가 도구로 쓰입니다.
🎨 그림으로 치매를 알아볼 수 있다고요?
네, 치매 초기 증상을 판별하는 **그림 검사(CDT 등)**는 매우 유효한 선별 도구입니다.
-
시계 그리기 검사: “11시 10분”을 시계로 표현하게 함
-
사물 회상 검사: 그림 속 사물 기억 여부 확인
✔️ 공간 인식, 기억력, 주의력 저하를 조기에 포착 가능
✔️ 특히 경도인지장애(MCI) 단계에서 큰 역할
💸 치매 검사 비용, 얼마나 들까요?
구분 | 비용 | 비고 |
---|---|---|
보건소 검사 | 무료 | 선별검사만 해당 |
일반 병원 | 약 3~5만 원 | 간이검사 기준, 일부 보험 적용 가능 |
전문병원 정밀검사 | 10만~50만 원 이상 | MRI 포함 시 비용 증가 |
영상검사(MRI) | 평균 30~60만 원 | 건강보험 적용 가능 |
💡 진단 목적일 경우, MRI 등 영상 검사도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💳 치매 검사 지원 제도 (2025년 기준)
항목 | 내용 |
---|---|
지원 대상 | 건강보험가입자,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 치매 의심자 |
소득기준 충족 지역 | 인천, 강원(평창/동해/화천), 충북(괴산/진천) 등 |
지원 항목 | 진료, 인지검사(CERAD-K, SNSB 등), 영상검사, 혈액검사 등 |
연간 지원 한도 | 1인당 연 36만 원 (월 3만 원 한도) |
📌 보건소 치매검사, 60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!
-
예약 없이 검사 가능, 신분증 지참만 하면 OK
-
검사 후 치매안심센터와 연계하여 후속관리 지원
-
초기 발견 시, 약물 치료와 생활 개선으로 증상 진행 속도 늦출 수 있음
✅ 지금이 바로 검사할 타이밍입니다
혹시 이런 경우, 바로 검사를 고려해보세요:
☑️ 부모님이 같은 말을 반복한다
☑️ 최근 물건을 자주 잃어버린다
☑️ 익숙한 길에서 자주 헤맨다
☑️ 감정 기복이 심해지고 우울해 보인다
👉 치매는 방치하면 악화됩니다.
👉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삶의 질을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.
❓ 자주 묻는 질문 (Q&A)
Q1. 치매검사는 꼭 병원에 가야 하나요? 보건소에서 충분한가요?
🅰️ 초기 선별 목적이라면 보건소나 치매안심센터에서의 간이검사(KDSQ-C)만으로도 충분합니다. 다만, 검사 결과에 따라 정밀 진단이 필요할 경우 병원으로 연계됩니다. 이때는 신경과, 정신건강의학과 등 전문 진료가 필요합니다.
Q2. 부모님이 병원 가기를 꺼리시는데 자가진단도 가능한가요?
🅰️ 네. **치매 자가진단 도구(KDSQ-C)**는 온라인으로도 가능하며, 치매안심센터 홈페이지나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에서 제공됩니다. 단, 자가진단은 참고용일 뿐, 의학적 판단을 대신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결과가 의심될 경우 전문 검사로 이어져야 합니다.
Q3. 치매검사 후 꼭 약을 복용해야 하나요?
🅰️ 아닙니다. 약물치료는 인지저하 정도, 진단 결과, 환자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, 생활습관 개선이나 인지재활 훈련만으로도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약물 복용 여부는 전문의 상담 후 결정됩니다.
0 댓글
📌 자유롭게 질문해주세요. 단, 광고성 댓글 및 비방은 사전 통보 없이 삭제됩니다.